카테고리 없음
퇴적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음에 눈
2020. 6. 17. 11:47
퇴적암이란 간단하게 말해 물과 바람 등의 운반작용 때문에 운반된 광물이 지표의 낮은 압력과 낮은 온도상태에서 퇴적작용을 제쳐 만들어진 암석을 퇴적암이라고 한다. 풍화와 침식 때문에 퇴적물이 만들어지고 중력에 의해 퇴적물이 만들어지고 의해 낮은 곳으로 이동되어 딱딱하게 굳어지게 되면 퇴적암이 되는데 오늘은 퇴적암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해보자. 암석의 풍화, 화산 분출, 생물 등에 의해 만들어진 물질이 물, 얼음, 공기, 중력 등의 매체에 의해 운반되어 해저면, 호수와 강의 바닥, 사막, 빙하 아래와 같은 다양한 환경의 지표에 쌓이거나 침전된 물질을 퇴적물(sediment)이라고 한다. 퇴적암은 퇴적물이 단단하게 변해서 만들어지는 암석이다. 퇴적물이 퇴적암이 되는 과정을 속성작용(diagenesis)이라 한다. 퇴적암은 육지에 노출된 암석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암석이다. 암석 종류별로 보면 지표에서는 퇴적암이 73%, 화산암 9%, 심성암 7%, 변성암이 11%를 차지한다. 퇴적암은 주로 표층에서의 작용 때문에 형성되며 고온 고압 환경에 놓이면 변성암과 화성암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퇴적암은 주로 지각 표층에만 분포하고 전체 지각에서 차지하는 부피 비는 8% 정도에 불과하다. 퇴적암은 지구 역사의 기록물이다. 퇴적암을 연구하면 과거 퇴적물이 퇴적될 당시의 퇴적 환경, 기후, 고지리, 지형, 식생 등을 이해할 수 있으며, 속성작용과 매몰, 융기 역사 등 퇴적 이후의 환경 변화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과거 생명체의 직접적 흔적인 화석 또한 퇴적암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생물의 진화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퇴적암은 퇴적이나 침전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기 때문에 형태적으로 볼 때 층리라 불리는 층상 구조를 보이는 것이 특징적이다 (그림 1). 하지만 퇴적 환경에 따라 층리가 잘 보이지 않는 예도 있다. 퇴적암은 경제적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화석연료인 석유와 천연가스, 석탄 등은 퇴적암 내의 유기물 성분으로부터 만들어진 것이므로, 이들 자원의 생성과 배태, 매장량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퇴적암에 대해 잘 이해해야 한다. 이 밖에 퇴적암은 우라늄, 석회석, 암염, 철, 칼륨 등 유용 자원의 주요 공급원이기도 하다. 퇴적암은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작용 때문에 만들어지는데, 생성 작용에 따라 크게 네 가지-(1) 규산질(규질) 쇄설성 퇴적암(siliciclastic sedimentary rocks), (2) 생물 및 생화학 기원 퇴적암(biogenic and biochemical sedimentary rocks), (3) 화학 기원 퇴적암(chemical sedimentary rocks), (4) 화산쇄설암(volcaniclastic rocks)-로 나눌 수 있다 3). 규산질 쇄설성 퇴적암은 지표에 노출된 암석의 파편이나 부서진 물질이 물리적 작용 때문에 운반되고 퇴적되어 만들어지는 것으로, 자갈(礫岩, conglomerate), 사암(砂岩, sandstone) 이질암(泥質岩, Murdock) 등이 이에 속한다. 셰일(shale)은 이질암 중 얇게 엽층리가 잘 발달하고 쪼개짐이 좋은 암석을 말한다. 생물 및 생화학 기원 퇴적암 중 대표적인 것은 석회암(limestone)이며, 백운암(=고회암, 돌로 돌; dolostone), 안산암, 석탄, 오일셰일, 처어트도 이 종류에 속한다. 화학 기원 퇴적암은 화학적 작용 때문에 생성되며 암염과 같은 증발암과 퇴적 기원 철광석인 함 철 암이 이에 속한다. 화산쇄설암은 화산활동에 의한 용암이나 화산분출물 기원의 입자로 이루어진 퇴적암으로, 응회암, 용결응회암 등이 있다. 화산쇄설암과 규산질 쇄설성 퇴적암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1) 물리적 작용 때문에 형성된 쇄설성 퇴적암, (2) 화학적 작용 때문에 형성된 화학적 퇴적암, (3) 생물 기원의 유기적 퇴적암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4) 주로 어떤 광물로 구성되었는가에 따라 퇴적암을 구분할 수도 있다.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퇴적암 종류는 규산질 쇄설성 퇴적암과 탄산염 퇴적암(carbonate sedimentary rocks)이다. 규산질 쇄설성 퇴적암은 석영, 장석, 점토광물과 같은 규산염 광물로 주로 이루어져 있다. 탄산염 퇴적암은 석회암과 백운암 같은 암석들을 말하는데, 방해석이나 아라고나이트, 백운석(돌로마이트) 같은 탄산염 광물(carbonate mineral; CO32-이온을 포함한 광물)이 주를 이룬다. 그 외에 암염이나 석고(gypsum)와 같은 증발암, 유기 탄소 함량이 높은 유기질 퇴적암, 실리카 성분으로 이루어진 처어트, 철 함량이 매우 높은 함처럼, 인산염 광물 함량이 높은 안산암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